콘텐츠로 건너뛰기

겨울 강원도, 전라북도, 제주도에 눈이 많이 내리는 이유

강원도, 전라북도, 제주도는 대한민국(한반도 전체 포함)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방입니다. 겨울, 추위, 눈으로 이어지는 생각의 흐름상 강원도에서 눈이 많이 내린다는 것은 자연스럽니다. 하지만 전북과 제주도 도민이 아니고 겨울에 자주 방문한 적이 없다면 강원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겨울이 온난한 제주도와 전라북도가 눈이 많이 온다는 사실은 모를 수가 있습니다.

1. 충분한 강수량

눈은 얼음과 마찬가지로 물의 고체 상태입니다. 아무리 추운 날씨라고 하더라도 건조한 날씨라면 눈을 구경하기 어렵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서울, 인천 및 경기도가 이런 경우에 속합니다. 세계적으로 볼 때는 중국이 대표적입니다. 강원도보다도 더 추운 날씨인 만주, 베이징을 비롯한 지역은 대륙성 기후로 인해서 겨울이 매우 건조합니다.

대표적인 냉대 기후

2. 영하까지 내려갈 기온

강수량이 많다고 하더라도 기온이 영하 또는 1도 내외가 아니라면 많은 강수량은 겨울비에 불과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는 이번에도 중국입니다. 한국보다 추운 북부는 건조해서 눈을 볼 수 없지만 장강 상하이를 비롯한 중국 남부는 비는 많이 오지만 겨울에 10도 정도를 유지하는 날씨이기 때문에 겨울비가 많이 내립니다.

3. 해기차로 인한 수증기 공급

해기차란? 해기차는 해수면 온도와 대기 온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대기와 물의 비열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동일 장소와 조건에서 같은 에너지를 가하더라도 대기 기온과 수온은 온도 차이(온도경도)가 발생합니다. 외부로부터의 대기나 물의 유입이 해기차 발생의 주원인입니다. 해기차가 발생하게 되면 비가 내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4. 강원도가 국내 대표적인 다설지인 이유

강원도 영동 지역은 동해와 맞닿아 있습니다. 그리고 태백산맥을 끼고 있습니다. 북쪽에서 불어오는 한파가 수심이 깊은 동해를 거쳐오면서 수증기를 공급받습니다. 그래서 동해안에 해기차가 발생하고 태백산맥에 부딪혀서 눈구름이 만들어지고 폭설을 발생시킵니다. 대표적으로 강릉, 속초, 양양 등에 눈이 많이 옵니다.

서해 해기차로 인해 눈이 많이 오는 호남지역과 제주도

해기차는 바다 해(海) 한자를 쓰는 만큼 서해안에도 발생합니다. 북극 및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고기압은 매우 건조하지만 서해(황해)를 통해서 수증기를 공급받는다면 전북과 전남에 눈을 뿌립니다. 해기차는 호남지방 중에서도 정읍에 특히 많은 눈을 내리게 합니다. 동해안의 해기차가 태백산맥에 막히듯이 서해안의 해기차는 노령산맥을 넘지 못해서 정읍에 눈을 뿌리게 됩니다.

제주도 역시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해 있고 겨울이 따뜻하지만 해기차의 영향권입니다. 해기차는 한라산에 가로막혀서 제주시에는 12월부터 많은 눈이 내립니다. 하지만 한라산 산남에 위치한 서귀포시는 바로 붙어있는 도시임에도 제주시보다 눈이 적게 내립니다.

5.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오는 국가 및 지역

5. 1. 미국과 캐나다의 오대호 인근

해기차는 한자로는 바다를 뜻하는 해(海)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안가가 아닌 북미 대륙 한가운데에 있는 시카고 지역이 왜 해기차의 발생 지역일까 생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기차는 영어권에서 lake-effect snow라고 부릅니다. 꼭 바다를 접하고 있지 않더라도 추운 기후와 수증기를 공급할 거대한 호수가 있다면 해기차가 발생하여 미시간주, 일리노이주 지역에 폭설을 내립니다. 마찬가지로 카스피해 인근의 내륙국들도 해기차 효과를 통해 겨울에 눈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5. 2. 일본 호쿠리쿠, 홋카이도 지방

일본에서 눈이 많이 오는 곳은 대도시이며 관광 자원이 많은 홋카이도의 삿포로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일본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은 후쿠이현, 이시카와현, 도아마현, 니가타현이 있는 호쿠리쿠 지방입니다. 해기차가 영동지방의 태백산맥을 넘지 못해서 눈을 뿌리듯이 호쿠리쿠 지역의 일본 알프스 산맥에 막혀서 눈을 뿌립니다. 일본 소설 설국의 배경이 되는 곳도 호쿠리쿠 지역에 속하는 니가타입니다. 다만 일본은 상대적으로 한반도 보다는 온난한 기후이기 때문에 눈이 오다가도 비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5. 3. 러시아 바이칼호

시베리아는 매우 춥고 건조한 지역입니다. 바다가 없는 러시아의 시베리아이지만 시베리아 한가운데에 바이칼호를 통해서 해기차가 발생합니다. 바이칼의 면적은 오대호보다 작지만 담수량은 오대호보다 많습니다. 해기차 효과를 통해서 바이칼호의 라인을 따라서 눈이 내린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엄청난 추위를 자랑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바이칼호가 얼어버리면 해기차가 발생할 수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